--- ఇ25 컴퓨터 비전(Computer Vision)이란? 요즘 이미지에서 글자 추출하고, 얼굴 인식하는 등 여러가지 업무를 하고 있는데 할수록 컴퓨터 비전에 관해 한번 정리하고 가야할거 같아서 .. !! 이번 글에서 컴퓨터 비전이 무엇인지, 기술은 무엇이 있고 어디에 활용하는지 등등 관련해 글을 써보고자 한다. 컴퓨터 비전(Computer Vision) :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의 한 분야, 말 그대로 Computer Vision = 컴퓨터의 시각. 컴퓨터가 이미지와 비디오(이미지 프레임)에서 개체와 사람을 식별하고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 분야. 시각적 세계를 해석하고 이해하도록 컴퓨터를 학습 시킴. -> 사람이 눈으로 보고 인지하는 과정을 컴퓨터가 수행하게끔 만들어 주는 학문 - 컴퓨터 비전의 활용 : 딥 러닝 및 인공 지.. 2022. 3. 4. python으로 유튜브영상 다운로드하기 📺 youtube_dl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간단한 python 코드를 짜면 원하는 유튜브 영상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라이브러리만 잘 설치하고, 경로 설정 잘해주면 간편히 따라할 수 있을 것이다. 나는 나중에 다운로드한 영상을 이미지 프레임으로 저장하는 실습을 하기 위해 경로 설정을 통해 폴더에다가 영상을 다운로드하였지만, 그냥 바로 영상만 다운로드하고 싶은 경우 더 간단한 코드도 준비했다. (맨 밑으로 이동) ** 작업은 vs code에서 하는 것을 권장한다. ① youtube_dl 설치 (터미널에서 진행) pip install youtube_dl youtube_dl : 유튜브 동영상 다운로드할 수 있게 하는 라이브러리 https://github.com/ytdl-org/youtube-dl GitHub -.. 2022. 2. 23. [Tensorflow] CNN - Fully Connected(Dense) Layer Fully Connected Layer = Dense Layer 완전 연결층(전결합층) : "완전 연결 되었다" 결과에 수렴하는 중간 역할, 완충역할 ① 그림과 같이 Max pooling까지 한 결과(pooling으로 나온 입체로 되어 있는 결과값)를 일렬로 벡터처럼 쭉 펴준다. ② 그것을 전부 다 연결하여 Fully Connect 해서 한 줄로 만들어준다. (Dense와 비슷함) ③ N개의 출력을 내보낸다. (예를 들어서 위의 그림처럼 만약 고양이와 개를 구분하는 네트워크라면 5와 1로 2개의 결과값 내보냄) ④ 그 출력값을 softmax 통과시키면 확률이 나온다. (고양이일 확률 0.98, 개일 확률 0.02 ) ※ 위 그림은 한 개의 layer만 그렸지만, 여러 개의 layer 쌓아서 구성할 수도 .. 2022. 2. 15. [데이터시각화] folium - choropleth (단계구분도) 표현하기 티스토리 하기 전에 네이버 블로그에 적은 건데 반응이 좋아서.. 티스토리에 옮겨적어야겠다 ^_^jupyter에서 지도에 데이터를 choropleth 단계구분도로 표현할 것이다. 단계구분도 : 색상을 이용하여 특정 통계에 대한 데이터를 정의된 영역과 관련시켜 데이터를 지도로 표현하는 방법 중 하나. 특정 구역에 대한 통계 데이터를 시각화하는 데 적절함. 예) 부산 시 자동차 등록 수, 범죄 건수, 교통사고 등등 '지역 별 통계'를 지도에 시각화하기 좋다. ① folium 설치하기- jupyter notebook에 바로 설치 1 !pip install folium cs - 터미널에서 설치 1 2 python -m pip install --upgrade pip pip install folium cs (pip .. 2022. 2. 6. 이전 1 2 3 4 5 6 7 다음